공부/Autosar

🚌ECU 설계 : Sender-Receiver vs. Client-Server

projectlim 2025. 3. 6. 20:47
728x90
반응형
SMALL

오늘의 포스팅!!
대학시절 AUTOSAR교육 프로젝트 당시 내용 정리!!

우선 통신 방법만 먼저 작성해봅니당~

교육 당시 사용했던 Tool

1. ECU 설계란? 🛠️

ECU(Electronic Control Unit)는 자동차의 전자제어 시스템을 담당하는 핵심 장치다. 차량 내부 센서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, 이를 처리하여 각종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.
ECU 간의 통신을 설계할 때 중요한 개념이 Sender-Receiver 방식과 Client-Server 방식이다.


2. Sender-Receiver 구조란? 📡

✅ 개념

  • 데이터를 보내는 Sender와 데이터를 받는 Receiver로 구성된 구조.
  • 비동기 통신 방식으로, 데이터를 전송하면 수신 측에서 별도의 요청 없이 받을 수 있다.
  • 주로 센서 데이터, 상태 정보 공유 등에 사용됨.

✅ 실무 적용 사례: Seat Heating System 제어 구현 🔥

AUTOSAR Sender-Receiver Interface를 활용하여 Seat Heating System 제어를 구현했다.

  • Sender (SWC_SeatSwitch): 1초 간격으로 SWC_SeatHeatingControl에 데이터 전송
  • Receiver (SWC_SeatHeatingControl): 데이터를 받아 "SW_OFF""SW_ON" 상태 전환
  • P/R Port 및 RTE Event 설정을 통해 SW-C 간 신호 송수신 구성

✅ 장점 & 단점

송신자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 수신자가 필요 없는 데이터도 받을 수 있음
다수의 Receiver가 데이터를 공유 가능 네트워크 부하 증가 가능
실시간 데이터 공유에 유리 전송 데이터 손실 시 보완 메커니즘 필요

3. Client-Server 구조란? 💻

✅ 개념

  • 데이터를 요청하는 Client와 요청을 처리하는 Server로 구성된 구조.
  • 동기 통신 방식으로, Client가 요청을 보내야 Server가 응답을 보냄.
  • 주로 진단 요청(UDS, OBD) 및 기능 제어 명령 등에 사용됨.

✅ 실무 적용 사례: Prescan 기반 도로 주행 시뮬레이션 🏎️

TCP/IP 소켓 통신을 활용하여 Prescan 시뮬레이션을 구현했다.

  • Client (Prescan 소프트웨어): 차량의 조향 및 속도 제어를 위해 데이터 요청
  • Server (TCP/IP 소켓 서버): 수신된 키 입력 값을 기반으로 차량 조향/속도를 제어
  • 키 입력을 이용한 Portpin 변환TCP/IP 통신을 통해 차량을 원격 조종

✅ 장점 & 단점

필요할 때만 요청하여 네트워크 부하 감소 요청을 보내기 전까지 데이터 수신 불가
데이터 전송이 명확하고 제어 가능 다수의 Client가 동시에 요청하면 지연 가능
인증 및 보안 적용이 용이 응답 대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음

4. ECU 설계에서 두 구조의 적용 방법 비교 ⚙️

비교 항목 Sender-Receiver Client-Server

통신 방식 비동기 (주기적 송신) 동기 (요청-응답)
사용 예시 센서 데이터 공유 (온도, 속도, 위치) ECU 진단 요청, 특정 기능 실행
실무 사례 Seat Heating System 제어 (AUTOSAR) Prescan 도로 주행 시뮬레이션 (TCP/IP)
장점 실시간 데이터 공유 네트워크 부하 감소, 요청 기반 제어
단점 불필요한 데이터 수신 가능 요청이 없으면 데이터 갱신 불가

5. 결론 및 활용 팁 🎯

  • 센서 값처럼 지속적으로 필요한 데이터 → Sender-Receiver 구조 활용 (예: Seat Heating System 제어)
  • 진단 요청처럼 특정 시점에 필요한 데이터 → Client-Server 구조 활용 (예: Prescan 시뮬레이션)
  • ECU 설계 시 시스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적절한 통신 방식을 선택해야 함

 
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