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MALL

CUBEide 4

🌟 STM32CubeMX 활용 가이드 🌟

RCC, NVIC, 클럭, 프리스케일러, 주기, HSE 완벽 정리!안녕하세요! 여러분의 STM32CubeMX 활용을 더욱 쉽게 도와드리기 위해, 중요한 설정 항목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봤습니다. 🚀 여러분이 이 글을 읽고 나면, STM32CubeMX에서 클럭, 인터럽트, 타이머 설정을 완벽하게 다룰 수 있을 거예요! 🧩 1. RCC (Reset and Clock Control)RCC는 STM32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듈로, 클럭과 리셋을 관리합니다. 시스템의 성능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죠! 🔧💡🔑 주요 기능:클럭 소스 설정: 시스템이 동작하는 속도를 결정하는 핵심입니다. 🕹️PLL(Phase-Locked Loop) 설정: 클럭의 속도를 더 높이고, 정..

공부/STM32 2025.03.08

[MCU_F/W설계] SUB 로봇암 제작_STM32

안녕하세요~~ 오늘은 KG_KAIROS 통합프로젝트에서 진행하는 사항들 중제가 맡은 부분에 대해 포스팅하려 합니다. 팀 내에서 저의 역할은팀장 + 장치 간 통신 + 회로 설계 + 리프트 제어 + SubRobotArm S/W설계   오늘 저의 역할은 SubRobotArm에서 F/W설계를 했습니다.업무: mg996r 서보 모터 6개를 이용한 6축 로봇암 만들기1단계 : 회로설계 (완)     - VCC, GND, pin으로 되어있으니까 어렵진 않아요2단계 : CUBE IDE Setup     - 제어용 통신 전공에서 3학년 2학기에 했었어서 할만했어요     - clock설정이랑 hz 세팅은 조금 어려웠는데.. 하다 보니...3단계 : ISR이랑 메인문 작성 정도?     - 이것도 기억 더듬어가면 할만했습..

[KG_KAIROS] 서보모터 각도제어, HEX 프로토콜

오늘은 서보모터 제어!!!      STM32에서 I2C(Inter-Integrated Circuit)는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양방향 2와이어 직렬 버스입니다. I2C는 두 개의 주요 선을 사용합니다:SDA (Serial Data Line):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선SCL (Serial Clock Line): 클럭 신호를 위한 선주요 특징마스터/슬레이브 구조: 마스터 장치가 클럭을 생성하고 통신을 제어합니다.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의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합니다.주소 지정: 각 슬레이브 장치는 고유한 7비트 또는 10비트 주소를 가집니다.속도 모드: 표준 모드(최대 100kHz), 패스트 모드(최대 400kHz), 패스트 모드 플러스(최대 1MHz), 고속 모드(최대 3.4MHz..

⏳ DMA,Falling,인터럽트란?

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및 처리는 폴링(Polling), 인터럽트(Interrupt), DMA(Direct Memory Access)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. 각 방식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.1️⃣ 폴링 (Polling)CPU가 주기적으로 특정 장치나 메모리 위치를 확인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검사하는 방식입니다.장점:구현이 간단하며, 특정 조건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.단점:CPU 자원을 많이 소모하며,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이벤트를 놓칠 수 있습니다.2️⃣ 인터럽트 (Interrupt)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장치가 CPU에 신호를 보내 작업을 중단하고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.장점:CPU가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.단점..

728x90
반응형
LIST